1일반사항
어떤 참가자도 결정이 최종적인 심사위원의 결정을 저촉하지 않아야한다.
코스를 올바르게 통과하지 못한 경우, SCT 내에서 코스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스포츠맨쉽 에 저촉될 경우 심사위원은 그에 맞게 실책과 거부, 실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심사위원은 실책 시 손바닥을 머리위로 높게 들어올린다.
거부 시 주먹을 쥐어 머리위로 높게 들어올린다.
실격 시 양손을 교차하여 X자 표시를 만들어 기록심사 위원에게 보여야한다.
심사위원원은 주심과, 기록심사, 초심으로 나뉜다.
또한 강아지의 체급의 부정출진신청예방으로 체고 측정할 수 있으며, 출발 시 호각으로 심사준비완료 통보한다.
사전에 심사위원에게 통보한 사항(털 길이가 길어 눈을 찌르는 경우 머리 삔 등)외 어떠한 경우에도 강아지에게 목줄, 옷, 악세사리 등을 착용하여선 안되며
핸들러 또한 먹이, 장난감등 강아지에게 유혹될만한 물품을 몸에 지녀서는 안 된다.
(1) Course check
출진자는 대회장 안에서 당일 강아지를 데리고 어떠한 연습도 불가능하다.
다만 참가자는 시합 전에 강아지를 동반하지 않고 주어진 시간 내에 코스를 체크할 수 있다. 코스체크 시간은 대회장의 환경, 코스의 수준, 출진인원수,
등의 판단 하에 주어진다.
(2) Course Handling
강아지가 출발선을 통과할 때 시간은 시작된다.
핸들러는 핸들링 중 다양한 명령과 신호가 허용된다. 핸들러는 장애물에 터치하거나, 장애물의 위를 뛰어넘거나, 강아지를 만져서는 안 된다.
몇 번의 부름에도 강아지가 통제 되지 않을 시에, 또는 핸들러가 의식적으로 멈춰 서서 진행을 하지 못 할 시에, 강아지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핸들러는 실격처리 될 수 있다.
핸들러는 거부사항이 발생 시 즉각 재실행해야하며, 실책사항발생시 재실행하지 않는다. (위브 폴은 제외)
(3) 불가항력
핸들러가 제어할 수 없는 돌발 사항(바람에 허들 바 낙하, 자루터널l의 꼬임, 강아지의 대회장 난입)이 생길시 심사위원의 판단 하에 핸들러를 멈춰 세울 수
있다. 심사위원은 즉각 돌발 상황에 수정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때 핸들러가 멈추기까지의 결함은 그대로 적용되며, 멈춘 위치까지의 재실행시
추가결함은 없다. 추가결함은 핸들러가 멈춰 섰던 지점 이후부터 발생한다.
2장애물별 심사규정
(1) Hurdle
- 허들을 떨어트리면 실책
- 허들아래 / 양옆으로 거부라인을 지나가면 거부
- 강아지가 허들 아래로 지나가다 허들 바를 떨어트리면 실격
- 강아지가 재실행되는 허들을 통과하기 전 허들 윙의 훼손 시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2) Dog walk
- 도그워크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내리막 슬로프 이전에 평행슬로프에서 뛰어내리면 거부
- 강아지가 도그워크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내리막 오르막 슬로프의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3) Seesaw
- 시소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시소의 중심점 이전 에서 뛰어 내일시 거부
- 강아지가 시소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시소에서 진행 방향 상 상행 슬로프에 오르지 않고 내림 슬로프에 뛰어올라 탔을 경우 거부
- 시소의 양끝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시소가 정확하게 땅에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아지의 이탈시 실책(Flying jump)
- 장비에 핸들러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4) A-frame
- A프레임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A프레임의 최고점 이전에서 뛰어 내릴 시 거부
- 강아지가 A프레임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A프레임의 양끝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접촉 시 실격
(5) Weave pole
- 위브 폴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위브 폴의 진입 시 오른쪽 어깨부터 진입한 경우 거부
- 중간에 나왔을 경우 실책 (예외적으로 위브 폴은 실책이 1회에 한함)
- 거꾸로 2개 이상의 폴을 지나면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6) Tunnel
- 터널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입구에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경우 거부
- 강아지가 터널위로 점프할 때 거부
- 입구 가아닌 출구로 들어가 경우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7) 자루Tunnel
- 자루터널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입구를 뛰어 넘었을 경우 거부
- 입구에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경우 거부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8) Tire
- 타이어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타이어 내부 이외의 프레임 사이로 통과하는 경우 거부
- 타이어를 통과 중 원형에 부딪혀 원형/프레임이 낙하된 경우 실책
- 타이어를 통과하지 못하고 부딪혀 원형/프레임이 낙하된 경우 실격
- 분리형 타이어의 경우 튜브를 통과 중 원형에 부딪혀 튜브가 분리될시 실책
- 분리형 타이어의 경우 거부하며 튜브를 터치, 분리되면 실격 처리한다.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9) Long jump
- 롱 점프는 진입 방향과 출구방향의 가이드 폴 대 사이로 넘어야 한다.
- 롱 점프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롱 점프 통과 중 되돌아 나오면 거부
- 롱 점프 진입을 걸어서 통과하면 거부
- 강아지가 진입방향으로 뛰어넘어 측면으로 착지 시 거부
- 강아지가 측면으로 뛰어넘어 측면으로 찾지 시 거부
- 강아지가 측면으로 뛰어 진행방향으로 착지하면 실격
- 출구 방향에서 넘으면 실격
- 유닛을 넘어트린 경우 실책
- 점프이후 착지 시 롱 점프 유닛사이에 착지하면 실책
- 유닛에 경미한 접촉은 실책이 되지 않는다.
- 가이드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넘어트려도 결함은 없다.
3Course결함(실책, 거부, 실격)
(1) 실책 - 심사위원이 손바닥을 펴 머리위로 올린다. (+5점)
- 핸들러가, 진로상의 강아지와 고의적이지 않은 접촉했을 때.
- 출진강아지가, 장애물을 수행 중 유닛을 떨어뜨리는 경우.
- 접촉 부분이 정해져 있는 장애물의 Touch line에 접촉하지 못한 경우.
- 시소에서 판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뛰어내렸을 때. -(Flying jump)
- 롱점프에서 유닛을 쓰러뜨리거나, 점프하여 유닛 사이에 출진강아지의 다리가 착지 하는 경우.
- 위브 폴에서, 폴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않았을 때.
- 타이어 통과 후 프레임을 넘어뜨리거나, 원형이 파손되었을 경우
(2) 거부 - 심사위원이 주먹을 머리위로 올린다. (+5점)
- 각 장애물을 통과하기 직전에 출진강아지가 멈춰 섰을 때.
- 장애물 옆을 몸이 지나쳐갔을 때.(거부 라인)
- 타이어 원형이 아닌, 프레임 사이를 통과했을 때.
- 롱 점프(폭비) 진입 방향과 다르게(측면) 가이드 폴대 사이를 가로질러 넘을 때
- 롱 점프 진입을 걸어서 통과 할 때
- 고정 터널, 자루 터널에서 터널 입구로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때
- 위브 폴에서, 진입 후 되돌아 나올 때나, 오른쪽 어께로 진입하였을 경우
- 도그 워크시 내리막 슬로프 전 평행 슬로프 에서 뛰어 내릴 경우.
- 시소의 중심점 이전에서 뛰어 내일시 거부
- 시소에서 상행 슬로프에 오르지 않고 내림 슬로프에 뛰어올라 탔을 경우.
- A프레임의 최고점 이전에서 뛰어 내릴시 거부
- 허들 중 허들 바 아랫방향으로 지나갔을 경우
(3) 실격 - 심사위원이 양팔을 교차하여 머리위로 든다.
- 3번 거부행위를 했을 때
- 강아지가 허들 바 아랫방향으로 진입하다 허들 바를 떨어뜨린 경우
- 정해진 순서에 맞지 않게 장애물을 통과 할 때
- 핸들러가, 장애물을 통과하거나, 장애물의 위나 아래를 통과 했을 때.
- 핸들러가, 장애물을 접촉하였을 때
- 핸들러가, 심사관의 지시 없이 경기를 중단했을 때.
- 경기 중 링 안에서 배설을 했을 경우.
- 출진강아지가 장애물을 정방향(진행)이 아닌 역방향으로 통과했을 때.
- 핸들러가 출진견을 고의로 접촉했을 때
- 위브 폴 통과 시 역방향으로 폴을 2개 이상 실행 하였을 때.
- 장애물 거부 이후 재실시 아니하고 다음 장애물을 실행 하였을 때
- 위브 폴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않고 다음 장애물을 실행 했을 때.
- 핸들러가, 심사 및 대회에 대해 스포츠맨쉽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때
- 핸들러가, 출진강아지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난폭하게 다뤘을 때.
- 출진강아지가 목걸이, 의복, 옷 등의 악세사리를 착용, 핸들러가 보상물을 지니고 있을 때
- 출진강아지 또는 핸들러가, 장애물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심사위원이 판단했을 때.
- 출진강아지가 공격적이라고 심사위원이 판단될 경우.
- 경기도중 출진 강아지외 다른 강아지가 경기장 난입 시 난입된 견은 즉시 실격처리된다.
- 출진강아지가 출발선을 넘은 후에 심판에 지시 없이 강아지를 출발지점으로 복귀시킬 때
- 심사위원의 출발 신호 전에 출발했을 경우
4선회지수
선회지수란 장애물을 통과하는 강아지의 총 예상 이동거리의 평균 시간을 구하기 위한 약속된 지표이다.
5SCT, MCT 산출
(1) 표준시간(SCT)의 제정
표준시간은 강아지의 크기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받기위해 평균적인 시간 값을 구하는 식이다, 강아지는 표준시간 안에 코스를 완주하여야하며 표준시간
이상으로 통과 시 추가되는 시간만큼 패널티를 받는다.
강아지가 달려야 할 거리에 따라 표준시간이 결정된다. 채택되는 선회지수는 코스의 난이도, 강아지가 달려야 할 지면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SCT는 채택된 속도(m/s)로 코스의 길이를 나누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예: Course가 200m, 채택된 속도 3.1m/s 일
경우,200÷3.1= 64.5 올림 하여
65초 표준시간은 65가 된다.
(2) 제한시간(MCT)의 제정
정확성과 더불어 빠르게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레벨에 적합한 합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일반적인 경우, 심사위원은 MCT를 SCT의 두 배로 지정한다.
65초의 SCT라면 MCT는 130초가 된다.
MCT는 SCT의 최소 1.5배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필드상황과 코스 난이도에 따라
심사위원은 1.5배에서
2배로 지정할 수 있다.
6성적산출
(1) 목표는 표준시간(SCT)안에 강아지가 코스를 바르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강아지가 같은 시간에 경기를 마쳤을 경우에, 실책이 적은 강아지가 우선순위가 된다.
시간은 총 실책의 수가 같을 때만 고려한다.
(2) 다음은 순위를 결정할 때 고려됩니다.
① 총 실점 (코스실점 + 시간 실점) 적은강아지
② 총 결함이 같으면, 가장 빠른 강아지가 우선순위이다.
* 코스실점(+5) - 장애물 실점, 시간실점(+SCT 초과시간), MCT초과시 실격
③ 예) SCT=60초
출진번호 |
Course실점 |
들어온 시간 |
시간실점 |
총실점 |
순위 |
1 |
5 |
58.71 |
0.00 |
5.00 |
3 |
2 |
0 |
65.00 |
5.00 |
5.00 |
4 |
3 |
5 |
57.25 |
0.00 |
5.00 |
2 |
4 |
0 |
68.32 |
8.32 |
8.32 |
5 |
5 |
10 |
59.17 |
0.00 |
10.00 |
6 |
6 |
5 |
65.00 |
5.00 |
10.00 |
7 |
7 |
0 |
59.20 |
0.00 |
0.0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