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바우 (waldbow)
1056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1234-43
로그인
회원가입
대회
신청
프로
그램
신청
수업
문의
TRAINING PROGRAM
AGILITY
어질리티
OBEDIENCE
오비디언스
CROSS PLAY
크로스 플레이
AGILITY
어질리티
보호자와 반려견이 신뢰 속에 함께하는 유대감 “독 스포츠 어질리티”
나의 반려견과 함께하는 스포츠로 미리 정해져 있는 순서의 장애물을 핸들러의 지시에 따라 넘는 타임 어택 스포츠입니다. 놀이로 시작되는 교육과정에서 반려견과 핸들러는 약속된 규칙과 공통 언어로 서로가 소통하며, 꾸준한 스포츠 활동으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옵니다. 어질리티를 통해 발전된 핸들러와 반려견의 전문지식은 자연스럽게 문제행동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으며, 추후 더 가치 있고 성숙한 반려 문화의 긍정적인 변화까지도 기대됩니다.
[ 발트바우 어질리티 클럽 since 2012 ]
· 초급반의 향상된 양질의 교육을 위해 전담 훈련사님과 수업 진행합니다.
· 연 4-5회 신규 회원 모집 시 반려견 성향 테스트를 거쳐 반려견의 장점과 단점, 고유의 성향에 대해 분석 후 보호자와 앞으로의 교육진행방향에 대해 상담합니다. 이후 어질리티 기초 세미나로 입문합니다.
· 모든 수업은 교육 채팅방을 개설하여 홈 트레이닝 과제, 수업 영상 공유 및 피드백을 전달합니다.
어질리티 회원 혜택
# 수업 당일 운동장, 수영장 사용 무료
# 다양한 반려교육 세미나 수강
# 연 1회 JKC 원정팀 우선 채택
# 발트바우 모든 서비스(호텔, 운동장 대관) 10% 할인적용
어질리티 레슨방식
[ 그룹레슨 ]
1 : 3 ~ 4
주 1회 2시간
[ 듀엣레슨 ]
1 : 2
주 1회 2시간
[ 개인레슨 ]
1 : 1
주 1회 1시간 30분
어질리티 교육과정
BEGINNER 과정
기본적으로 강아지의 재미와 의욕상승, 회전의 이해, 크로스, 스스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기틀을 잡아줍니다.
NOVICE 과정
핸들러의 크로스타이밍, 위치, 코스에 대한 이해, 연속되는 장애물에 대한 포커싱, 다양한 장애물 등의 교육을 받음으로써 좀 더 자신감 있게 즐길 수 있는 과정입니다
AMATEUR 과정
난이도가 높은 터치장애물, 위브폴 등의 장애물을 추가적으로 교육하여 반려견에게 체득화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핸들러는 조금 더 핸들링에 숙련되고 원하는 테크닉과 포지션을 취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핸들링을 배워가는 과정입니다.
PROFESSIONAL 과정
다양한 장애물로 구성된 코스를 전략적으로 분석하여 올바른 도그 라인과 핸들러 라인을 스스로가 찾을 수 있는 단계를 말합니다. 이과정은 최고난이도 과정으로, 코스를 스스로가 연구하여 디자인해보고, 디자인한 코스를 이미지 트레이닝하여 각종 테크닉을 접목시키는 단계입니다. 스스로가 올바른 도그 라인의 코스를 디자인할 수 있어야, 실제 코스를 맞닥트렸을 때 핸들러와 반려견에게 최고의 라인을 분석, 체크할 수 있습니다.
1일반사항

어떤 참가자도 결정이 최종적인 심사위원의 결정을 저촉하지 않아야한다.

코스를 올바르게 통과하지 못한 경우, SCT 내에서 코스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스포츠맨쉽 에 저촉될 경우 심사위원은 그에 맞게 실책과 거부, 실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심사위원은 실책 시 손바닥을 머리위로 높게 들어올린다.

거부 시 주먹을 쥐어 머리위로 높게 들어올린다.

실격 시 양손을 교차하여 X자 표시를 만들어 기록심사 위원에게 보여야한다.

심사위원원은 주심과, 기록심사, 초심으로 나뉜다.

또한 강아지의 체급의 부정출진신청예방으로 체고 측정할 수 있으며, 출발 시 호각으로 심사준비완료 통보한다.

사전에 심사위원에게 통보한 사항(털 길이가 길어 눈을 찌르는 경우 머리 삔 등)외 어떠한 경우에도 강아지에게 목줄, 옷, 악세사리 등을 착용하여선 안되며 핸들러 또한 먹이, 장난감등 강아지에게 유혹될만한 물품을 몸에 지녀서는 안 된다.

(1) Course check

출진자는 대회장 안에서 당일 강아지를 데리고 어떠한 연습도 불가능하다.

다만 참가자는 시합 전에 강아지를 동반하지 않고 주어진 시간 내에 코스를 체크할 수 있다. 코스체크 시간은 대회장의 환경, 코스의 수준, 출진인원수, 등의 판단 하에 주어진다.

(2) Course Handling

강아지가 출발선을 통과할 때 시간은 시작된다.

핸들러는 핸들링 중 다양한 명령과 신호가 허용된다. 핸들러는 장애물에 터치하거나, 장애물의 위를 뛰어넘거나, 강아지를 만져서는 안 된다.

몇 번의 부름에도 강아지가 통제 되지 않을 시에, 또는 핸들러가 의식적으로 멈춰 서서 진행을 하지 못 할 시에, 강아지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핸들러는 실격처리 될 수 있다.

핸들러는 거부사항이 발생 시 즉각 재실행해야하며, 실책사항발생시 재실행하지 않는다. (위브 폴은 제외)

(3) 불가항력

핸들러가 제어할 수 없는 돌발 사항(바람에 허들 바 낙하, 자루터널l의 꼬임, 강아지의 대회장 난입)이 생길시 심사위원의 판단 하에 핸들러를 멈춰 세울 수 있다. 심사위원은 즉각 돌발 상황에 수정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때 핸들러가 멈추기까지의 결함은 그대로 적용되며, 멈춘 위치까지의 재실행시 추가결함은 없다. 추가결함은 핸들러가 멈춰 섰던 지점 이후부터 발생한다.

2장애물별 심사규정
(1) Hurdle
Hurdle
  • 허들을 떨어트리면 실책
  • 허들아래 / 양옆으로 거부라인을 지나가면 거부
  • 강아지가 허들 아래로 지나가다 허들 바를 떨어트리면 실격
  • 강아지가 재실행되는 허들을 통과하기 전 허들 윙의 훼손 시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2) Dog walk
Dog walk
  • 도그워크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내리막 슬로프 이전에 평행슬로프에서 뛰어내리면 거부
  • 강아지가 도그워크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내리막 오르막 슬로프의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3) Seesaw
Seesaw
  • 시소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시소의 중심점 이전 에서 뛰어 내일시 거부
  • 강아지가 시소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시소에서 진행 방향 상 상행 슬로프에 오르지 않고 내림 슬로프에 뛰어올라 탔을 경우 거부
  • 시소의 양끝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시소가 정확하게 땅에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아지의 이탈시 실책(Flying jump)
  • 장비에 핸들러 신체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4) A-frame
A-frame
  • A프레임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A프레임의 최고점 이전에서 뛰어 내릴 시 거부
  • 강아지가 A프레임의 위/아래로 이동시 거부
  • A프레임의 양끝 Touch line을 밟지 않으면 실책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접촉 시 실격
(5) Weave pole
Weave pole
  • 위브 폴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위브 폴의 진입 시 오른쪽 어깨부터 진입한 경우 거부
  • 중간에 나왔을 경우 실책 (예외적으로 위브 폴은 실책이 1회에 한함)
  • 거꾸로 2개 이상의 폴을 지나면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6) Tunnel
Tunnel
  • 터널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입구에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경우 거부
  • 강아지가 터널위로 점프할 때 거부
  • 입구 가아닌 출구로 들어가 경우 실격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적 접촉 시 실격
(7) 자루Tunnel
자루Tunnel
  • 자루터널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입구를 뛰어 넘었을 경우 거부
  • 입구에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경우 거부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8) Tire
Tire
  • 타이어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타이어 내부 이외의 프레임 사이로 통과하는 경우 거부
  • 타이어를 통과 중 원형에 부딪혀 원형/프레임이 낙하된 경우 실책
  • 타이어를 통과하지 못하고 부딪혀 원형/프레임이 낙하된 경우 실격
  • 분리형 타이어의 경우 튜브를 통과 중 원형에 부딪혀 튜브가 분리될시 실책
  • 분리형 타이어의 경우 거부하며 튜브를 터치, 분리되면 실격 처리한다.
  • 핸들러가 장비에 신체 일부가 고의 접촉 시 실격
(9) Long jump
Long jump
  • 롱 점프는 진입 방향과 출구방향의 가이드 폴 대 사이로 넘어야 한다.
  • 롱 점프의 거부 라인을 지나치면 거부
  • 롱 점프 통과 중 되돌아 나오면 거부
  • 롱 점프 진입을 걸어서 통과하면 거부
  • 강아지가 진입방향으로 뛰어넘어 측면으로 착지 시 거부
  • 강아지가 측면으로 뛰어넘어 측면으로 찾지 시 거부
  • 강아지가 측면으로 뛰어 진행방향으로 착지하면 실격
  • 출구 방향에서 넘으면 실격
  • 유닛을 넘어트린 경우 실책
  • 점프이후 착지 시 롱 점프 유닛사이에 착지하면 실책
  • 유닛에 경미한 접촉은 실책이 되지 않는다.
  • 가이드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넘어트려도 결함은 없다.
3Course결함(실책, 거부, 실격)
(1) 실책 - 심사위원이 손바닥을 펴 머리위로 올린다. (+5점)
  • 핸들러가, 진로상의 강아지와 고의적이지 않은 접촉했을 때.
  • 출진강아지가, 장애물을 수행 중 유닛을 떨어뜨리는 경우.
  • 접촉 부분이 정해져 있는 장애물의 Touch line에 접촉하지 못한 경우.
  • 시소에서 판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뛰어내렸을 때. -(Flying jump)
  • 롱점프에서 유닛을 쓰러뜨리거나, 점프하여 유닛 사이에 출진강아지의 다리가 착지 하는 경우.
  • 위브 폴에서, 폴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않았을 때.
  • 타이어 통과 후 프레임을 넘어뜨리거나, 원형이 파손되었을 경우
(2) 거부 - 심사위원이 주먹을 머리위로 올린다. (+5점)
  • 각 장애물을 통과하기 직전에 출진강아지가 멈춰 섰을 때.
  • 장애물 옆을 몸이 지나쳐갔을 때.(거부 라인)
  • 타이어 원형이 아닌, 프레임 사이를 통과했을 때.
  • 롱 점프(폭비) 진입 방향과 다르게(측면) 가이드 폴대 사이를 가로질러 넘을 때
  • 롱 점프 진입을 걸어서 통과 할 때
  • 고정 터널, 자루 터널에서 터널 입구로 들어갔다 입구로 나올 때
  • 위브 폴에서, 진입 후 되돌아 나올 때나, 오른쪽 어께로 진입하였을 경우
  • 도그 워크시 내리막 슬로프 전 평행 슬로프 에서 뛰어 내릴 경우.
  • 시소의 중심점 이전에서 뛰어 내일시 거부
  • 시소에서 상행 슬로프에 오르지 않고 내림 슬로프에 뛰어올라 탔을 경우.
  • A프레임의 최고점 이전에서 뛰어 내릴시 거부
  • 허들 중 허들 바 아랫방향으로 지나갔을 경우
(3) 실격 - 심사위원이 양팔을 교차하여 머리위로 든다.
  • 3번 거부행위를 했을 때
  • 강아지가 허들 바 아랫방향으로 진입하다 허들 바를 떨어뜨린 경우
  • 정해진 순서에 맞지 않게 장애물을 통과 할 때
  • 핸들러가, 장애물을 통과하거나, 장애물의 위나 아래를 통과 했을 때.
  • 핸들러가, 장애물을 접촉하였을 때
  • 핸들러가, 심사관의 지시 없이 경기를 중단했을 때.
  • 경기 중 링 안에서 배설을 했을 경우.
  • 출진강아지가 장애물을 정방향(진행)이 아닌 역방향으로 통과했을 때.
  • 핸들러가 출진견을 고의로 접촉했을 때
  • 위브 폴 통과 시 역방향으로 폴을 2개 이상 실행 하였을 때.
  • 장애물 거부 이후 재실시 아니하고 다음 장애물을 실행 하였을 때
  • 위브 폴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않고 다음 장애물을 실행 했을 때.
  • 핸들러가, 심사 및 대회에 대해 스포츠맨쉽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때
  • 핸들러가, 출진강아지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난폭하게 다뤘을 때.
  • 출진강아지가 목걸이, 의복, 옷 등의 악세사리를 착용, 핸들러가 보상물을 지니고 있을 때
  • 출진강아지 또는 핸들러가, 장애물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심사위원이 판단했을 때.
  • 출진강아지가 공격적이라고 심사위원이 판단될 경우.
  • 경기도중 출진 강아지외 다른 강아지가 경기장 난입 시 난입된 견은 즉시 실격처리된다.
  • 출진강아지가 출발선을 넘은 후에 심판에 지시 없이 강아지를 출발지점으로 복귀시킬 때
  • 심사위원의 출발 신호 전에 출발했을 경우
4선회지수
선회지수란 장애물을 통과하는 강아지의 총 예상 이동거리의 평균 시간을 구하기 위한 약속된 지표이다.
5SCT, MCT 산출
(1) 표준시간(SCT)의 제정
표준시간은 강아지의 크기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받기위해 평균적인 시간 값을 구하는 식이다, 강아지는 표준시간 안에 코스를 완주하여야하며 표준시간 이상으로 통과 시 추가되는 시간만큼 패널티를 받는다.
강아지가 달려야 할 거리에 따라 표준시간이 결정된다. 채택되는 선회지수는 코스의 난이도, 강아지가 달려야 할 지면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SCT는 채택된 속도(m/s)로 코스의 길이를 나누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예: Course가 200m, 채택된 속도 3.1m/s 일 경우,200÷3.1= 64.5 올림 하여 65초 표준시간은 65가 된다.
(2) 제한시간(MCT)의 제정
정확성과 더불어 빠르게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레벨에 적합한 합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일반적인 경우, 심사위원은 MCT를 SCT의 두 배로 지정한다.
65초의 SCT라면 MCT는 130초가 된다.
MCT는 SCT의 최소 1.5배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필드상황과 코스 난이도에 따라 심사위원은 1.5배에서 2배로 지정할 수 있다.
6성적산출
(1) 목표는 표준시간(SCT)안에 강아지가 코스를 바르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강아지가 같은 시간에 경기를 마쳤을 경우에, 실책이 적은 강아지가 우선순위가 된다.
시간은 총 실책의 수가 같을 때만 고려한다.
(2) 다음은 순위를 결정할 때 고려됩니다.

① 총 실점 (코스실점 + 시간 실점) 적은강아지

② 총 결함이 같으면, 가장 빠른 강아지가 우선순위이다.

* 코스실점(+5) - 장애물 실점, 시간실점(+SCT 초과시간), MCT초과시 실격

③ 예) SCT=60초

출진번호 Course실점 들어온 시간 시간실점 총실점 순위
1 5 58.71 0.00 5.00 3
2 0 65.00 5.00 5.00 4
3 5 57.25 0.00 5.00 2
4 0 68.32 8.32 8.32 5
5 10 59.17 0.00 10.00 6
6 5 65.00 5.00 10.00 7
7 0 59.20 0.00 0.00 1
1Course 설계
  • 두 연속 장애물 사이의 거리는 5m ~ 6m로 한다.
  • 거리 측정 시에는 장애물의 가운데지점으로(위브 폴 및,터널은 장애물의 출입지점) -핸들러는 어느 쪽이든 각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 A프레임 또는 도그 워크 아래에 있는 터널을 제외한 장애물은 반드시 최소 1m 간격을 두어야한다.
  • 위브 폴, 타이어, 벽 및 자루터널은 코스에서 단 한 번만 통과한다.
  • 레벨에 따라 최소 15개에서 최대 22개 이상의 장애물을 설치하지 않는다.
  • 코스의 실제거리는 최소 100m에서 최대220m사이 이어야 한다.
  • 자루터널, 스프레드 허들, 벽, 타이어 및 농 점프의 진입은 수월하여야 한다.
  • 시작장애물은 허들로 이루어져야하고 마지막 장애물은 허들이나 스프레드 허들로 이루어 져야 한다.
  • 장애물 순서를 알리는 번호판은 양쪽으로 통과 가능한 U자 터널(가운데 설치 가능)을 제외한 장애물에 알기 쉽게 분명한 위치에 놓아져야한다.
  • 어질리티 코스는 3가지 다른 Contact 장비가 있어야 하며, 대회장의 상황에 따라 코스 설계는 전적으로 심사위원의 구상이 우선시된다.
2장애물 규격
어질리티 장애물은 어떠한 경우든 안전에 주의하여야한다. 흔들리거나 불안전한 장애물은 경기 중 강아지에게 위험이 될 수 있음으로 규격에 맞는 어질리티 장애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Touch line의 색상은 전 슬로프와 대비되는 색상으로 구분되어있어야 한다.(Touch line의 색으로 흰색과 검정은 사용 할 수 없다.)
(1) Hurdle
Hurdle
  • 허들 바 너비: 1.2m~1.3m
  • 허들 바는 강아지가 건들일 경우 쉽게 떨어질 수 있어야 한다.
  • 허들 윙은 서로 연결되거나 고정되어서는 안 된다.
  • 허들 윙의 모양이 직사각형이나 삼각형이면 안 된다.
(2) Spread hurdle
Spread hurdle
  • 싱글 허들의 간격 : L(50cm 이하), M(40cm 이하), S(30cm 이하)
  • 두 개의 싱글 허들로 하나의 스프레드 허들을 만든다.
  • 허들 바는 15 ~ 25cm높이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오르막으로 놓는다.
  • 가장 높은 허들 바는 맨 뒤에 위치한다.
  • 뒤쪽 바 길이가 10~20cm 더 길게 한다.
(3) Wall
Wall
  • 최소 너비: 1.~1.3m / 약 20cm 정도의 두께
  • 기둥의 높이:100~120cm
  • 폭:20~40cm
  • 둥근 경우: 직경 30~40cm
  • 패널에 한 두 개의 개방된 터널을 만들 수 있다.
  • 패널의 마지막은 각각의 개별 유닛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 Dog walk
Dog walk
  • 높이 : 최소 1.2m, 최대 1.3m
  • 슬로프의 길이가 최소 3.6m, 최대 3.8m이고 너비는 30cm이어야 한다.
  • 각 경사로는 강아지가 더 쉽게 올라가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25cm 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용 발판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시작부분 10cm 이내에는 제외한다. 이 발판들은 20mm의 너비에 5~10mm의 두께여야 한다.
  • 가장자리가 날카로워서는 안 된다.
  • 각 경사로 끝으로부터 90cm지점에는 접촉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색으로(측면도 포함) 칠해져야 한다.
(5) Seesaw
Seesaw
  • 슬로프의 길이가 최소 3.6m 최대 3.8m 이고 너비는 30cm.이어야 한다.
  • 중앙 받침대의 높이는 60cm 로 한다. 접촉부분은 도그 워크와 같다.
  • 장애물은 고정 되어야 하고 널빤지는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미끄럼 방지용 발판은 사용하지 않는다.
  • 시소는 1킬로그램의 무게가 시소의 내려가는 쪽 Touch line 지점에 놓였을 때 2~3초 안에 바닥에 닿아야 한다. 만약 이렇지 않은 경우에 조정이 돼야 한다.
(6) A-frame
A-frame
  • A자형태의 두개 경사로
  • 너비: 최소 90cm , 1.15m까지 넓힐 수 있다.
  • 지면으로부터 꼭대기까지 높이는 강아지의 체고에 상관없이1.7m(101.5도)이고 각 경사로의 길이는 2.65m~2.75m 이다. 각 경사로는 강아지가 더 쉽게 올라가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 25cm 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용 발판이 있어야 한다.
  • 그러나 시작부분 10cm 이내에는 제외한다.
  • 이 발판들은 20mm의 너비에 5 ~10mm의 두께여야 한다. 또 가장자리가 날카로워서는 안 된다.
  • 각 경사로 끝으로부터 106cm 지점에는 접촉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색으로(측면도 포함) 칠해져야 한다.
  • A프레임의 정점에는 강아지에게 위험한 어떤 것도 있어서는 안 된다.
  • 필요에 따라 커버를 씌워야 한다.
(7) Weave pole
Weave pole
  • 기둥은 단단하며 지름은 3 ~ 5cm이다.
  • 막대의 높이는 100 ~ 120cm 이며 60cm 떨어져 있다. (폴 사이에서 측정).
  • 프레임은 총 0.8cm보다 두껍지 않아야한다 (프레임 + 측면 지지대).
  • 프레임의 너비는 8cm보다 넓지 않아야 한다.
  • 측면 지지대는 강아지가 방해되어서는 안 된다.
  • 폴을 고정하는 것은 높이10cm이하로 하며 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되어있어야 한다.
(8) Tunnel
Tunnel
  • 지름 60cm, 길이 300~600cm
  • 터널은 유연해야한다. 터널은 항상 전체 길이까지 펼쳐서 설치한다.
  • 터널을 고정 할 때 스토퍼는 위험하지 않아야 하며 터널의 윤곽과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곧게 고정되어야한다.
(9) 자루 Tunnel
자루 Tunnel
  • 90cm 깊이의 강성 또는 반 강성 구조 의 입구가 있어야한다.
  • 입구는 높이 60cm, 폭 60 ~ 65cm이며 바닥은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 터널 입구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합니다. 입구의 테두리는 보호물로 덮여 있어야 한다.
  • 출구는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180-220cm 이다.
(10) Tire
Tire
  • 튜브 내경 : 45cm ~ 60cm
  • 튜브 테두리 폭 : 최소 8cm - 최대 18cm
  • 타이어는 2개의 직립으로 된 프레임에 고정된다.
  • 장애물이 너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타이어 위쪽으로 프레임이 튀어나와서는 안 된다.
  • 충격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분리형 타이어를 사용한다.
  • 분리형 타이어는 2~4개의 부품으로 그 위에 8kg의 무게가 가해졌을 때 분리 될 수 있어야한다.
(11) Frame Tire
Frame Tire
  • 구멍 직경 : 45~60cm
  • 타이어는 높이가 조절 가능해야 하고(체인 또는 밧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서는 안 된다.
  • Large 등급 견의 경우 타이어 프레임의 길이는 높이의 약 1.5배이어야 한다.
  • 안전상의 이유로 가벼운 재질로 타이어 프레임을 제작해서는 안 된다.
  • 튜브는 2~4개의 부품으로 그 위에 8kg의 무게가 가해졌을 때 분리 될 수 있어야한다.
  • 프레임 너비는 150cm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프레임과 튜브의 바깥 쪽 테두리는 적어도 15cm가되어야한다.
(12) Long jump
Long jump
  • 2~4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 길이는 다음과 같다.
  • 롱 점프 너비 : 앞면이 120cm , 뒤쪽이 150cm 유닛은 오름차순으로 배치된다.
  • 가장 낮은 유닛의 높이 15cm, 가장 높은 유닛의 높이 28cm 유닛 간의 간격 최소 15cm
  • 가이드의 높이 120 ~ 130cm, 지름 3-5cm. 유닛의 네 모퉁이에 위치해야 한다.
  • 가이드는 유닛에 연결되어있지 않고 고정되어서는 안 된다.
  • 필요에 따라 꼭대기는 강아지와 핸들러를 보호하기 위해 뚜껑을 씌워야 한다.
OBEDIENCE
오비디언스(복종)
보호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좋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현대 반려 생활속에 꼭필요한 교육 "오비디언스"
간단한 신호에 반응하도록 개를 가르치는 것은 반려견에게 좋은 에티켓과 매너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반려견과 보호자 사이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고자 하는 욕구, 장난감 놀이 활동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줄 수 있습니다. 오비디언스는 나의 반려견을 안전하게보호하고, 행복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세상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입니다.
오비디언스 레슨방식
[ 그룹레슨 ]
1 : 3 ~ 4
주 1회 2시간
[ 듀엣레슨 ]
1 : 2
주 1회 2시간
오비디언스 교육과정
취미반
일상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바탕으로 교육을 진행하며 기본 매너와 보호자와의 룰을 가르칩니다. 좋은 품성과 좋은 습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회화 교육,기본 예절 교육, 산책교육 등의 기초 교육입니다.
민간 자격증반
[ 3급 CD1 – 가정견 ]
3개월~ 6개월의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반려견과 보호자가 평상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 복종 교육입니다.
[ 2급 BH – 동반견 ]
1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A파트 (훈련장에서 동반견 시험), B파트 (교통순치성 테스트)로 나눠 교육이 진행됩니다. 반려견과 보호자가 사회에서 공동 생활을 하기 위한 심화 교육입니다.
1급 IGP
[ 1급 IGP - 국제 사역견 ]
경찰견 구조견 등의 사역견 훈련으로 최소 2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3파트로 나눠 교육이 진행됩니다. A파트(추적): 반려견이 후각을 사용하여 족적의 냄새를 쫓아가는 훈련 B파트(복종): 핸들러에게 집중한 상태로 따라 걸으며 앉아 엎드려 등의 핸들러의 지시에 즉각 이행하는 훈련 C파트(방위): 흥분된 상태에서도 핸들러의 명령어에 의해 욕구 억제, 혹은 공격하여 도주자를 저지하는 경찰견과 같은 훈련
국가 자격증반
국가자격증은 공신력있는 자격증으로 국가가 관리합니다. 1급과 2급 두 가지로 나뉘고, 탐지견센터 및, 관련분야 채용 시 우대받을 수 있습니다. 견종과 크기에 상관없으며 본인, 혹은 직계가족 소유의 반려견만 가능합니다.
OBEDIENCE RULES
오비디언스(복종) 규정
CROSS PLAY
독 크로스 플레이
고강도 운동을 통한 발란스 잡힌 반려견 바디 컨디셔닝 "독 크로스플레이(Dog Crossplay)"
독 크로스플레이란 기구, 장비를 활용하여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반려견의 신체를 민첩하고 발란스 잡힌 강인한 상태로 만드는 운동입니다.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다른 물체에 대한 사회화와 뇌 기능 발달, 고강도 운동을 통해 근력 강화, 유연성 향상, 체력 증진, 협응력 발달, 균형 감각 향상 등의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반려견이 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육체 능력을 골고루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며 특히 크로스플레이를 통해 스포츠 독을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크로스플레이는 고유수용감각 및, 스포츠 독의 대회 비시즌 고강도 근력강화 운동으로, 건강한 신체를 가진 반려견에게 적합합니다. 건강상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수의사와 상담, 피트니스와 같은 재활프로그램을 추천드립니다.
독 크로스플레이를 통해 발전된 핸들러와 반려견의 전문지식 및 상호관계는 자연스러운 문제행동 교정과 더 강한 유대감 형성으로 앞으로 더욱 수준 있고 가치 있는 한국 반려 문화의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됩니다.
오비디언스 레슨방식
[ 듀엣레슨 ]
1 : 2
주 1회 2시간
[ 개인레슨 ]
1 : 1
주 1회 1시간
독 크로스 플레이 프로그램
반려견의 신체 상태나 목적에 따라 다르게 프로그램 짜기 때문에 단계를 나누지는 않습니다.
1. 세미나
크로스플레이란? / 견체의 이해 / 크로플레이의 10요소 / 크로스 플레이 동작 / 프로스 플레이 프로그
2. 운동계획 전 바디 체크
운동프로그램 전 적합성 확인
3. 목적과 컨디션에 맞는 프로그램 계획
크로스 플레이 10요소를 사용한 계획
4. 독 크로스플레이 기본 동작
Down to stand / Down to sit / Sit to stand / Tuck sit / Rock back sit
5. 독 크로스플레이 심화 동작
Flexibility / Balance / Stamina / Coordination / Strength 요소별 운동
발트바우 독 스포츠 클럽
Waldbow Dog Sports Club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1234-43
1234-43, Hoguk-ro, Deogyang-gu, Goyang-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어질리티, 오비디언스, 독 크로스핏 교육전문
Agility Training · obedience training · CrossFiT
050-7131-76739 | xogh9454@naver.com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naverMap
Naver Map
t-Map
T Map
kakaMap
Kakao Map